황덕현 경제부 기후환경
황덕현 경제부 기후환경전문기자 ⓒ 뉴스1 (런던=뉴스1) 황덕현 기후환경전문기자 = 2020년 벽두, '유럽연합'(EU)을 자신만만하게 탈퇴했지만, 영국에 남은 수는 많진 않았다. 산업·경제적으로 독립성을 갖는 만큼 스스로 살길을 개척·정비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했을 것이다. 영국은 그걸 '기후 전환'으로 삼은 듯하다. 지난달, 런던부터 미들즈브러, 리버풀 등 여러 산업 지역을 다녀본 바로는 그랬다.북동부의 철강도시 티스밸리는 그 단면이다. 제철소 폐쇄로 2000개 넘는 일자리가 사라진 뒤 지역은 잠시동안 '유령도시'처럼 바뀌었다. 그러나 지금은 해상풍력 관련 공장과 수소 설비, 직업학교가 들어섰다. 영국 정부와 지방정부, 민간 기업이 함께 만든 '자유경제구역'(프리포트)에는 2040년까지 최대 3만 개의 녹색 일자리가 생길 전망이다. 지멘스가메사와 오스테드 같은 해외 기업도 투자에 뛰어들었다. 한국 기업(세아제강)도 영국 소도시에 세계 최대급 공장을 짓고 있다. 이역만리에 자본을 투입할 만큼 매력이 있다는 방증이다.머지강 하구 리버풀은 바다 위 풍력을 관광 자원으로 삼고, 해저 가스전을 이산화탄소 저장소로 바꾸는 '하이넷' 프로젝트로 산업 지도를 다시 그리고 있다. 풍력단지가 들어선 해안가에는 관광객이 몰리고, CCS 설비 주변으로 저탄소 산업단지가 조성되고 있다.영국의 산업 재편은 단순히 공장만 세운 게 아니다. 전력망과 항만, 직업학교, 세제 감면을 한 묶음으로 묶었다. 지방정부가 공간계획을 주도하고, 중앙정부가 규제·재정으로 받쳐주며, 민간 기업이 장기 전력구매계약(PPA)과 투자 인센티브를 근거로 설비를 깔았다.중공업단지가 많은 한국 지방 산업도시에는 이같은 영국의 산업 전환 성공 모델이 분명 좋은 청사진이다. 다만 현재 우리의 대응은 기술·시설 지원이나 청년 정착 보조금 수준에 머물러 있다.문제는 산업만 무너지는 게 아니라는 점이다. 산업과 함께 사람이 빠져나가면서 지역 기반 자체가 붕괴되고 있다.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된 곳만 전국 시군구의 40%가량인 89곳이다. 제2도시인 부산은 1995년 이후 60만 명 가까이 빠져나가며, 330만명 선에 머물러 있다.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0.75명이었다. 나가는 사람이 많고, 태어나는 사람도 없는 셈이다.연구자료 등에 따르면 한국 [KBS 대전]교황청 성직자부 장관인 유흥식 추기경이 오늘(6일) 서산 해미국제성지를 찾아 미사를 집전했습니다.여름휴가를 맞아 지난달 30일 귀국한 유 추기경은 오늘 서산 해미국제성지에서 미사를 집전하며, "상대방과 눈높이를 맞추려면 마음을 비워야 한다"며 이웃과의 공감대 형성을 강조했습니다.해미국제성지는 지난 2020년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교황청 승인을 받은 국제 성지로, 유 추기경은 지난해 7월에도 이곳을 찾아 미사를 집전했습니다.이연경 기자 (yglee@kbs.co.kr)
황덕현 경제부 기후환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