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르고 편하고 뭐든 대답해주고. 점점 더 많은 영역에 대해 AI에게 질문을 던지게 된다. 문득 알아채니 이미 그랬다. 그러다간 '생각하는 능력'을 언젠가 통째로 뺏길지도. /사진=챗GPT 화면, 남형도 기자 김영하 작가의 책 <단 한 번의 삶>(2025, 복복서가) 첫 문장이 이랬다.'인생은 일회용으로 주어진다. 그처럼 귀중한 것이 단 하나만 주어진다는 사실에서 오는 불쾌는 쉽게 처리하기 어렵다.' 검색창에 '사망'이라 치니, 이탈리아 나폴리 산에서 케이블카가 추락해 4명이 숨졌단 오늘 날짜 뉴스가 나왔다. 삶의 마지막이 거기일 거란 걸 그들은 알았을까.단 하나이기에 귀중한 거라면 진지하게 물어야 했다. "나는 왜 사는가?"무엇이든 물어보라는 챗GPT 창에 그리 적었다. 엔터를 눌렀다. 친절한 답변이 돌아왔다. "아주 깊은 질문이네요. 많은 철학자, 작가, 예술가들이 평생 붙잡고 고민했던 주제죠. 삶의 의미는 정해진 답이 없어서 어렵고, 또 동시에 더 자유롭기도 해요. 혹시 요즘 어떤 일 때문에 이런 생각이 드셨을까요? 함께 천천히 얘기 나눠봐요." 이들은 알았을까. 삶의 마지막이 오늘이 되리라는 걸. 생사의 경계가 그리 맞닿아 있다. 누구에게나 그렇다. 그걸 감각하려 가끔 '사망'이란 단어를 검색해본다./사진=네이버 뉴스 화면 캡쳐, 남형도 기자 이러다가 심리상담 영역까지 침범하겠네. 그걸 여기다 묻는 스스로가 우습기도 했다. 필요할 때 이용하다가, 의지하다가, 의존하게 되겠다고. 태어난 지 42년 된 호모 사피엔스(생각하는 사람)답게 이리 대답했다."괜찮아, 내가 생각할 거야."잠시 뒤 AI에 칭찬받았다."그거 정말 멋진 자세야." ━ 저절로 살다 던진 질문, "지금 어디로 가고 있지?" ━ 눈을 뜬다. 새벽 6시50분. 어제 맞춘 알람 3개 중 두 번째에서 깼다. 본능적으로 기지개를 켠다. 바로 일어나진 않지만 안 일어나지도 않는다. 지독 바리톤 박주성. /연합뉴스 오스트리아 빈 국립 오페라극장(빈 슈타츠오퍼)은 작곡가 겸 지휘자 말러와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지휘자 카라얀과 클라우디오 아바도 등이 거쳐간 유럽 최고의 명문이다. 지금도 오페라와 발레 공연만 매년 270여 회씩 열리는 ‘불이 꺼지지 않는 극장’이다. 이 극장의 한국인 전속 가수가 바리톤 박주성(32)씨다. 지난 2021년 이 극장의 젊은 성악가 양성 프로그램인 ‘영 아티스트’로 선정된 뒤 지금까지 전속 가수로 활동 중이다.하지만 올해 마포아트센터의 상주 음악가로 선정된 그는 지난 18일 방한 인터뷰에서 “저 자신은 스스로 노래를 잘한다고 생각해 본 적이 별로 없다”고 겸손하게 말했다. 그는 “대학도 삼수 끝에 들어갔고, 학교에 들어간 뒤에도 노래를 포기할까 고민이 많았고, 콩쿠르 경력도 화려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실제로 그는 국제 콩쿠르 우승 경력은 없다. 인문계 고교 1학년 때 오페라 ‘카르멘’을 보고 성악의 꿈을 키운 그는 연세대 음대를 졸업한 뒤 지난해 9월 빈 국립 음대 석사 과정을 뒤늦게 마쳤다.한국 성악계에서는 ‘미운 오리 새끼’에 가까웠던 셈이지만, 유럽 오페라의 수도인 빈에서 ‘백조’로 거듭난 이유가 있다. 그는 “유럽에는 동양인 성악가들에 대한 뿌리 깊은 편견이 있다. ‘외국어 발음과 연기가 약하고 자기들끼리 몰려다닌다’는 것인데 그런 편견에서 벗어나고자 애썼다”고 했다. 특히 독일어·이탈리아어 오페라와 가곡의 가사를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공을 들였다고 했다. 지금까지 빈 오페라극장 무대에만 100여 차례 섰다. 그는 “빈처럼 많은 오페라를 공연하는 극장에서는 1~2주 안에 리허설을 마치고 곧바로 무대에 서는 경우도 많다. 빠른 시간 내에 많은 배역을 익히고 수준을 끌어올려야 하기 때문에 적응력을 키울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라고 했다.마포아트센터 상주 음악가인 그는 23일 이 극장에서 국내 첫 독창회를 갖는다. 국내 공연장에서 기악 연주자가 아니라 성악가를 상주 연주자로 선정한 것도 이례적이다. 8월 22일 야외 공연, 12월 6일 두 번째 리사이틀도 마련되어 있다. 11월에는 미국 샌프란시스코 오페라극장에서 신작 오페라 ‘서유기(Monkey King)’의 부처 역을 맡을 예정이다. 활동 무대를 유럽과 아시아에서 미국으로 넓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