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전다윗 기자] 사모펀드 소유 외식 프랜차이즈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홈플러스 사태로 사모펀드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가 확산하는 상황에서, 이재명 정부의 규제 강화 움직임이 본격하되고 있어서다. 지난달 24일 국회에서 열린 'MBK 등 사모펀드 운영 가맹점주 긴급간담회 및 정책제안식'에서 민주당 을지키는민생실천위원회(을지로위원회) 소속 의원들과 가맹점주협의회 대표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을지로위원회] 1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재명 정부는 사모펀드와 이들 펀드에 출자하는 기관투자자(LP)에 대한 적격성 심사 강화, 의무공개매수 도입 등 사모펀드 규제 강화를 대선 핵심 공약으로 내세웠다. 고려아연, 홈플러스 사태 등이 불거지면서 단기이익만 추구하는 사모펀드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높아진 데 따른 조치다.새 정부 출범에 발맞춰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을 중심으로 한 규제 입법 움직임도 이어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김현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사모펀드의 차입 한도를 펀드 순자산의 400%에서 200%로 낮추는 것을 골자로 하는 자본시장법 개정안을 발의했다.규제 강화 흐름이 본격화 되면서 사모펀드가 소유·투자하고 있는 외식 프랜차이즈 브랜드들까지 덩달아 긴장하는 분위기다. bhc치킨, 아웃백 스테이크 하우스 등을 운영하는 다이닝브랜즈그룹, 맘스터치, 버거킹, 투썸플레이스, 설빙 등이 대표적이다.실제로 민주당 을지로위원회 등은 지난달 말 국회에서 'MBK 등 사모펀드 운영 가맹점주 긴급간담회 및 정책제안식'을 열어 사모펀드 소유 프랜차이즈를 본격적으로 겨냥하기도 했다. 이 자리에는 주요 프랜차이즈 가맹점주협의회 대표들이 대거 참석해 실제 가맹점 현장에서 벌어지는 불공전 거래와 생존권 침해 사례를 전달했다.참석 가맹점주들은 △사모펀드 인수 시 정보공개서 변경 등록 의무화 및 감독기관의 사전 검토 △가맹본부 양도 시 가맹점주와 사전협의 의무화 △가맹계약의 실질적 재체결 제도화 △계약 갱신요구권 10년 제한 폐지 △필수품목 강제, 보복성 [수원=뉴시스] 청량산 수원캠핑장 계획도. (사진=수원시 제공) 2025.06.19.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수원=뉴시스] 박종대 기자 = 경기 수원시가 경북 봉화군에 19억 여원을 들여 캠핑장 조성을 추진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이번 사업은 이재준 수원시장의 지역 간 상생 철학에서 나온 정책이지만, 지역 정치권의 거센 반발에 직면하며 지방자치 협력의 현실적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19일 봉화군과 수원시에 따르면 두 지역의 인연은 지난 2015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수원화성문화제와 봉화송이축제를 통한 상호 교류가 9년째 이어지면서 2024년 6월 공식적인 우호도시 협약으로 발전했다. 이러한 교류 역사가 청량산 캠핑장 공동 운영이라는 협력의 결실로 이어졌다. 봉화군의 10년 간 무상 운영권 이전과 수원시의 시설 개선 투자가 결합된 상생 모델이다.2017년 개장한 청량산 캠핑장은 약 1만1595㎡ 규모로 카라반·글램핑·데크 등 총 34개 시설로 꾸려져 있다. 캠핑장에는 관리동과 샤워실, 화장실, 개수대 등 기본 시설과 족구장·농구장 등 체육시설, 파고라·사각정자·어린이놀이시설·분수대 등 편의시설이 갖춰져 있다.'남한의 소금강'으로 불리는 도립공원 청량산 일대에 있으며 수려한 자연경관과 기암괴석, 청량산 하늘다리, 낙동강 래프팅 등 다양한 볼거리와 체험시설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천혜의 조건으로 캠핑족들로부터 "자연 병풍이 너무나 아름답고 시설도 좋아 만족스럽다"는 호평을 받고 있다.수원시가 이런 캠핑장 투자에 나선 데는 이재준 시장의 과감한 결단이 밑바탕이 됐다.이 시장은 2022년 11월 고향사랑기부제 시행을 앞두고 "수원특례시 같은 대도시는 '우리 도시에 기부해달라'가 아닌 '소멸위험 지자체에 기부해달라'는 취지로 홍보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신념을 보였다. 인구 120만 명이 넘는 특례시 단체장으로서 지방소멸 위기에 놓인 지역과의 상생을 강조한 발언이었다.실제로 이 시장은 고향사랑기부제 시행 당시 '고향사랑e음 시스템'을 통해 연천군, 전라북도, 충남태안군, 전남해남군, 경북포항시 등 5개 지자체에 고향사랑기부금을 온라인으로 기탁하기도 했다. 연천군, 태안군, 해남군은 지방소멸 위험지역이며 전북은 전주시를 제외한 13개 시·군이 소멸위험지역이다. 포항시는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