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전체매출 0.5% 줄었
작년 전체매출 0.5% 줄었지만해외선 8%↑, 1조616억 달성빼빼로 50개국서 701억 판매초코파이는 인도서 인기 폭발무설탕 '제로' 수출액 4배 '쑥'제과기업 롯데웰푸드가 해외 매출 1조원 시대를 열었다. 롯데웰푸드가 해외에서 매출 1조원을 달성한 것은 1967년 창립 이래 처음이다. 내수 침체, 출산율 하락 등으로 과자 수요가 줄어들 것을 대비해 해외에서 활로를 모색한 결과다.14일 롯데웰푸드에 따르면 지난해 해외 매출은 전년(9754억원) 대비 8% 증가한 1조616억원으로, 1조원을 돌파했다. 이 중 해외 법인 매출이 8567억원, 수출액이 2049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7%, 17% 증가했다. 롯데웰푸드의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은 4조442억원으로, 전년(4조663억원)보다 0.5% 줄었지만 해외에서의 실적은 증가했다.롯데웰푸드 해외 법인은 인도, 카자흐스탄, 벨기에, 러시아, 파키스탄, 미얀마, 싱가포르 등 7개국에 8개 있다. 인도에만 초코파이 등 건과를 생산하는 법인 롯데인디아, 아이스크림 등 빙과 생산법인 하브모어 등 법인 2개가 있다. 수출국은 50개국에 달한다.해외 법인 실적은 법인 전체 매출의 33%(2904억원)가 인도에서 발생할 만큼 인도에서 거둔 성과가 돋보였다. 롯데인디아의 지난해 매출은 1176억원으로 전년(1034억원)보다 13% 증가했다. 하브모어 매출도 지난해 1728억원으로 전년(1656억원)보다 4% 늘었다.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지난해 롯데인디아의 매출을 견인한 것은 초코파이였다. 롯데인디아의 지난해 총매출 1176억원의 절반을 훌쩍 뛰어넘는 881억원이 초코파이 판매에서 나왔다. 2023년 인도에서 초코파이 매출은 751억원이었다. 롯데웰푸드는 초코파이 인기 비결로 철저한 현지화 전략을 꼽았다.롯데웰푸드 관계자는 "종교적 이유 등으로 채식주의자가 많은 인도인 특성을 고려해 초코파이의 핵심 원재료 중 하나인 마시멜로를 동물성 젤라틴 대신 식물성 원료로 대체해 생산했지만 맛은 좋아 입소문이 났다"며 "인도 현지에서 롯데 초코파이가 인도 초코파이 전체 시장의 약 70%를 차지할 정도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고 말했다.전체 품목 기준으로 수출액이 가장 컸던 1위 제품은 빼빼로였다. 빼빼로의 지난해 수출액은 701억원으로 전년 대비 약 30% 증가했다. 롯데웰푸드는 빼빼로의 해외 유통망·마케팅 강화 등 다방면에서 노력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빼빼로는 1983년 탄생해 소비자에게 지금까지 꾸준히 사랑받는 장수 과자로, 약 50개국에 수출되고 있다. 2위는 초코파이로, 140억원으로 집계됐다.롯데웰푸드 관계자는 "무설탕·무당류 디저트 브랜드 '제로(Z작년 전체매출 0.5% 줄었지만해외선 8%↑, 1조616억 달성빼빼로 50개국서 701억 판매초코파이는 인도서 인기 폭발무설탕 '제로' 수출액 4배 '쑥'제과기업 롯데웰푸드가 해외 매출 1조원 시대를 열었다. 롯데웰푸드가 해외에서 매출 1조원을 달성한 것은 1967년 창립 이래 처음이다. 내수 침체, 출산율 하락 등으로 과자 수요가 줄어들 것을 대비해 해외에서 활로를 모색한 결과다.14일 롯데웰푸드에 따르면 지난해 해외 매출은 전년(9754억원) 대비 8% 증가한 1조616억원으로, 1조원을 돌파했다. 이 중 해외 법인 매출이 8567억원, 수출액이 2049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7%, 17% 증가했다. 롯데웰푸드의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은 4조442억원으로, 전년(4조663억원)보다 0.5% 줄었지만 해외에서의 실적은 증가했다.롯데웰푸드 해외 법인은 인도, 카자흐스탄, 벨기에, 러시아, 파키스탄, 미얀마, 싱가포르 등 7개국에 8개 있다. 인도에만 초코파이 등 건과를 생산하는 법인 롯데인디아, 아이스크림 등 빙과 생산법인 하브모어 등 법인 2개가 있다. 수출국은 50개국에 달한다.해외 법인 실적은 법인 전체 매출의 33%(2904억원)가 인도에서 발생할 만큼 인도에서 거둔 성과가 돋보였다. 롯데인디아의 지난해 매출은 1176억원으로 전년(1034억원)보다 13% 증가했다. 하브모어 매출도 지난해 1728억원으로 전년(1656억원)보다 4% 늘었다.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지난해 롯데인디아의 매출을 견인한 것은 초코파이였다. 롯데인디아의 지난해 총매출 1176억원의 절반을 훌쩍 뛰어넘는 881억원이 초코파이 판매에서 나왔다. 2023년 인도에서 초코파이 매출은 751억원이었다. 롯데웰푸드는 초코파이 인기 비결로 철저한 현지화 전략을 꼽았다.롯데웰푸드 관계자는 "종교적 이유 등으로 채식주의자가 많은 인도인 특성을 고려해 초코파이의 핵심 원재료 중 하나인 마시멜로를 동물성 젤라틴 대신 식물성 원료로 대체해 생산했지만 맛은 좋아 입소문이 났다"며 "인도 현지에서 롯데 초코파이가 인도 초코파이 전체 시장의 약 70%를 차지할 정도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고 말했다.전체 품목 기준으로 수출액이 가장 컸던 1위 제품은 빼빼로였다. 빼빼로의 지난해 수출액은 701억원으로 전년 대비 약 30% 증가했다. 롯데웰푸드는 빼빼로의 해외 유통망·마케팅 강화 등 다방면에서 노력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빼빼로는 1983년 탄생해 소비자에게 지금까지 꾸준히
작년 전체매출 0.5% 줄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