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는 다시금 거센 보호무역의 회오리 속으로 들어섰다.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산 제품에도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자동차, 전자, 철강 등 한국의 주력 수출 산업이 직격탄을 맞게 되면서, 통상 리스크가 다시 우리 산업의 미래를 위협하고 있다.이제 우리는 단순한 방어가 아니라, 구조적 대응이 필요한 시점에 서 있다. 그 해법은 다름 아닌 인공지능(AI) 기반 로봇산업에서 찾을 수 있다. 세계는 이미 로봇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로봇산업은 이제 더 이상 '미래 산업'이 아니다. 현재이자 현실이다.국제로봇연맹(IFR)에 따르면, 2023년 전 세계 산업용 로봇 설치 대수는 약 59만대로, 전년 대비 7% 증가하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특히 AI 기반 자율로봇 시장은 2023년 약 143억달러 규모에서 2034년에는 1240억 달러를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단순한 하드웨어 공급을 넘어, 제조·물류·의료·건설·국방 등 거의 모든 산업 분야에서 로봇이 핵심 요소로 부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로봇은 더 이상 기계산업의 하위 항목이 아니다. AI, 자율주행, 센서, 클라우드, 빅데이터가 융합된 '지능형시스템'으로서, 국가 기술 역량의 결정판이 되고 있다. 미국, 중국, 일본, 독일이 자국 내 로봇산업 육성을 위한 막대한 투자를 쏟아붓고 있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이처럼 AI 로봇산업이 세계 기술 패권의 핵심으로 떠오른 지금, 대한민국은 보스턴다이내믹스라는 결정적인 기회를 눈앞에 두고 있다. 1992년 MIT에서 스핀오프한 보스턴다이내믹스는 세계 최초의 4족 보행 로봇 '스팟(Spot)', 인간형 로봇 아틀라스(Atlas)', 물류 로봇 '스트레치(Stretch)'로 전 세계 이목을 집중시켰다.2024년에는 전기 기반의 신형 '아틀라스'를 공개했다. 현대차는 수천대 단위로 이를 자사 공장에 도입하겠다고 밝혔다.보스턴다이내믹스는 이제 본격적인 양산체제 전환을 준비 중이며, 새로운 글로벌 생산기지를 물색하고 있다. 다행인 것은 2021년 현대자동차그룹이 인수하면서, 한국과 기술적·산업적 연결고리를 만들었다.보스턴다이내믹스 공장을 대한민국에 설립하자. 더 구체적으로는 부산·울산·경남(부울경) 지역에 유치하자. 부울경은 이미 5000여 개의 자동차 부품업체가 밀집해 있는 대한민국 제조업의 핵심 거점이다. 감속기, 정밀모터, 제어장치 등 로봇에 필요한 핵심 부품기술을 보유한 기업 경남 진주의 배농가 정충효씨가 10일 자신의 농장에서 수정 작업을 하고 있는 모습. 대부분의 암술이 고사해 정상과를 맺기 어렵지만 나무 수세를 유지하려면 비정상과라도 생산해야 하기 때문에 수정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사람들이 지나가면서 활짝 핀 배꽃을 보며 예쁘다고 합니다. 하지만 농가 속은 배꽃 암술처럼 까맣게 타들어갑니다.” 10일 경남 진주시 문산읍 옥산리에 있는 한 배나무밭. 먼발치에서 바라볼 땐 그저 보기만 해도 배부를 정도로 배꽃이 아름답게 만개해 있었다. 하지만 가까이 다가가 보니 사정이 전혀 달랐다. 꽃잎은 하얗게 펴 있었지만, 가운데 있는 암술은 대부분 시커멓게 변해 있었다. 2일부터 4일까지 사흘간 최저기온이 영하 2∼3℃를 밑도는 기습 한파가 이어지면서 배꽃이 언피해를 봐 암술 부분이 얼어죽은 것이다. 1만9835㎡(6000평) 규모 배농장을 운영하는 농가 정충효씨(60) 밭에선 이날 붓으로 꽃가루를 배꽃에 묻혀주는 인공수정 작업이 한창이었다. 한 꽃대에 보통 8개 정도 꽃이 피는데, 꽃이 피는 순서대로 1∼8번으로 이름이 붙는다. 2∼4번 꽃에 수정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번 언피해로 대부분의 암술이 고사했거나 8번 꽃만 남아 있어 선택이 불가능한 상황이었다. 정씨는 “8번 꽃에다가 수정을 해봤자 정상과로 크는 경우는 거의 없다”면서 “착과가 잘되도 기형과가 나올 확률이 커 올해 제대로 된 수확을 기대할 순 없지만 내년에 또 농사를 지으려면 나무 수세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울며 겨자먹기로 8번 꽃에 수정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25년째 이곳에서 배농사를 지으며 산전수전을 다 겪었지만 올해와 같은 언피해는 처음 겪는 일이라는 게 정씨의 말이다. 정씨 농장에선 일부 조생종을 제외한 나머지의 75%가량이 피해를 본 것으로 추산된다. 해당 꽃대에선 유일하게 8번 꽃만 언피해를 보지 않았다. 농작물재해보험도 가입했지만 피해 복구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엔 턱없이 부족할 것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