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 마련된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게임 시즌3 팝업을 찾은 시민들이 드라마 조형물을 관람하고 있다. 뉴스1 '오징어 게임' 시즌3(이하 '오징어 게임3')가 공개 첫 주 넷플릭스에서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본 콘텐트로 집계됐다. 2일 넷플릭스 공식 사이트 '투둠'의 '넷플릭스 톱10'에 따르면 '오징어 게임3'은 지난달 23일부터 29일까지 시청 시간 3억6840만 시간을 기록했다. '오징어 게임3'은 지난달 27일 공개됐기 때문에 단 3일 만에 3억7000만 시간에 육박하는 시청 시간을 달성한 셈이다. 전체 러닝타임(6시간 8분) 기준으로 환산하면 총 시청 수는 약 6010만이다. 이 작품은 비영어권 TV쇼 부문에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을 뿐 아니라 영어권 TV쇼와 영화 등 전 카테고리를 통틀어도 가장 높은 시청 수를 기록했다. 국가별로 보면 미국, 영국, 일본, 아르헨티나 등 조사 대상 93개국에서 모두 1위를 기록했다. 1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 마련된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게임 시즌3 팝업 무대. 뉴스1 넷플릭스 오리지널 콘텐트가 공개 첫 주에 전 국가에서 1위를 차지한 것은 '오징어 게임3'이 처음이다. 이전에 공개된 시즌2는 작년 12월 공개 직후 93개국 중 91개국에서 1위를 한 바 있다. 다만, 시즌3의 시청 수는 공개 첫 주 기준 역대 최고 기록인 시즌2의 6800만에는 다소 못 미쳤다. 주간 기준으로는 시즌1의 둘째 주(6980만), 시즌2의 첫째 주(6800만)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수치다. 또한 공개 후 91일간의 누적 시청 수를 비교하는 '넷플릭스 최고 인기 비영어권 쇼 톱10' 순위에서 시즌1과 시즌2는 각각 1위와 2위를 지키고 있고, 시즌3도 9위로 새롭게 이름을 올렸다. 시즌3는 공개된 지 오래되지 않아 향후 순위 상승이 예상된다. 시리즈의 결말이 담긴 시즌3가 공개되면서 기존 시즌들도 다시 주목받고 있다. 작년 12월 공개된 시즌2는 지난주 비영어권 TV쇼 부문 3위(시청 수 280만), 2021년 공개된 시즌1은 6위(170만)로 다시 순위권에 진입했다. '오징어 게임' 시리즈는 현대차·기아 서울 강남구 'UX 스튜디오 서울' 현대차·기아가 사용자와 미래 모빌리티 경험을 설계하는 세계 최초 상시 고객 참여형 연구 거점을 가동한다.현대차·기아는 3일 현대차 강남구 사옥 1~2층에 'UX 스튜디오 서울'을 정식 개관한다. 'UX 스튜디오 서울'은 현대차·기아가 추구하는 모빌리티 사용자 경험(UX·User Experience)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와 함께 미래 모빌리티 경험을 설계하는 공간이다.사용자는 'UX 스튜디오 서울'에서 미래 모빌리티 환경을 다양한 콘텐츠를 통해 경험하고, 선행 UX 연구 과정에 참여하고 차량 개발 과정에서 의견이 반영되는 과정을 체험할 수 있다.현대차·기아는 일반 사용자가
차량 UX 개발 과정에 참여하고 피드백을 제공하는 체계적이고 상시적인 연구 플랫폼은 UX 스튜디오 서울이 세계 최초 사례라고 소개했다.'UX 스튜디오 서울' 개관은 전동화·자율주행 등 미래 모빌리티 패러다임 전환에서 사용자 경험을 지속혁신하는 한편, 디자인·주행 성능· 인포테인먼트
시스템·편의사양 등 고객이 모빌리티를 사용하며 느끼는 모든 요소에서 브랜드만의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다.김효린 현대차 AVP본부 피쳐전략실 상무는 “현대자동차그룹이 지향하는 UX는 편리함을 넘어 감동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라며 “출발점은 고객의 목소리이며, UX 스튜디오 서울은 단순 체험 공간이 아니라 실제 차량 개발 과정에 고객의 목소리를 담아내는 공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차·기아 'UX 스튜디오 서울' 2층 시뮬레이션 룸 현대차·기아는 'UX 스튜디오 서울'을 UX 전시 콘텐츠를 체험하고 리서치에 참여할 수 있는 1층 '오픈랩'과 몰입형 UX 연구 공간인 2층 '어드밴스드 리서치 랩'으로 구성했다.고객 개방형 체험 공간 '오픈 랩'에는 △모빌리티 UX 연구 과정에 대해 고객의 이해를 높이기 위한 'UX 테스트 존' △현대차그룹 SDV를 실현시키기 위한 핵심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기술을 체험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존' △현대차·기아의 사용자 경험